국가정보전략연구소 (2136)
국가정보학 (428)
글로벌정보경영전략 (57)
윤리경영 (308)
기업문화 (373)
위대한직장찾기 (460)
탐정학 (22)
전략적 메모의 기술 (4)
저자의견 및 칼럼소개 (239)
책과 세미나 소개 (223)
드론산업(4차산업혁명) (19)
ColorSwitch 00 01 02
▣  능력 - 해당되는 글 2건


국제감각이란 무엇일까? 취업을 위한 최종 면접준비를 하는 학생들이 나에게 많이 물어보는 질문이다. 많은 기업들이 지원자를 평가하는 기준 중의 하나가 국제감각이라고 하는데, 누가 명확하게 정의해 주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기업의 인사담당자마다 정의가 다를 것이라고 여겨지고, 또한 경영진의 생각도 다를 수가 있다고 본다. 나 스스로도 이런 질문을 받으면 참 난감하여 답을 해주기 어려웠다. 그래도 취업 준비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내 나름대로 고민을 하여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국제감각이란 최소한 글로벌 언어소통능력, 글로벌 시민의식, 글로벌 문화인식 등 세가지를 갖춰야 한다고 본다.

먼저 국제감각을 가지려고 한다면 최소한 국제적으로 소통되는 언어능력이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하면 만국공통어로 인식된 영어를 잘해야 한다. 학생들은 단순히 TOEIC, TOEFL, TEPS 등 영어 성적이 우선이 아니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기업의 인사담당자도 제일 먼저 영어시험의 성적으로 지원자의 언어능력을 판단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최소한 기본 점수 이상의 영어성적은 갖춰야 하고, 이에 상응한 말하기, 쓰기 등의 능력도 필요하다.

영어성적위주로 1차 서류전형을 통과한 지원자들끼리 면접을 통해 경쟁하므로 면접에서 보는 것은 회화능력이 아닐까 싶다. 영어시험 점수와 회화능력이나 작문능력과는 다르다는 것을 모르는 기업인사 담당자가 없으니 이들이 요구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소개나 몇 마디 인사로서는 부족하다. 자기가 지원하는 분야의 전문지식이나 업계의 흐름에 관한 용어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국제감각을 가지려면 글로벌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인종간의 차별인식, 편협한 민족의식, 자국위주의 이기주의 등은 21세기 글로벌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가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한국 국민은 글로벌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대체적으로 흑인이나 동남아시아인을 무시하고, 백인들을 선호한다. 또한 이미 한국이 다문화, 다민족 국가로 전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문화의 우수성, 단일민족의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고 외친다.

선진국의 산업개발을 위한 환경오염과 쓰레기 투기로 인해 후진국의 경제가 붕괴되고 지구환경재앙이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다른 나라의 문제라고 치부하기도 한다. 이제 모두가 국가나 민족을 떠나 글로벌 시민으로서 공존공영을 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런 자세는 대학을 졸업한다고, 학점이 높다고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세계에 대한 애정을 가져야만 가능한 것이다.

셋째 국제감각을 가지려면 글로벌 문화인식을 키워야 한다. 문화란 우월하거나 열등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살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므로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 서양의 문화가 동양의 문화보다 뛰어나다거나 후진국은 문화도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한 나라의 문화는 그 나라의 역사, 민족성, 지형적 특성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공부하고 체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국가에 대한 책을 읽고, 필요하다면 여행이나 체류를 해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세계의 모든 국가를 여행하고 공부하기는 어렵지만, 자신이 목표로 하는 기업과 관련성이 있는 지역이나 국가에 대한 문화를 배우는 것은 어렵지 않다. 요즘은 책이 나와 있지 않더라도 구글이나 야후 등 영어 사이트에 들어가면 자신이 원하는 국가에 대한 모든 자료가 다 있다.

결론적으로 최소한 위 세가지 요건을 갖춰야 국제감각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능력을 가진 인재가 과연 존재하기는 하는 것일까기업의 인사담당자가 지원자를 평가하여 이런 능력을 가진 인재를 구분할 능력이 있을까하는 의문점은 든다. 또한 현재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 중에도 이러한 능력이 있는 인재가 많지 않을 것인데, 이제 대학을 갓 졸업한 새내기들에게 이런 요건까지 요구하는 것은 가혹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업에서 이런 지원자만 뽑겠다고 하니 어떤 형태로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대학에서 이런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면 좋으련만 대부분의 대학은 인플레이션된 학점과 졸업장만 쥐어서 학생들은 내보내는 수준이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여진다. 학생들도 이제는 대학의 수업이나 영어시험을 위한 공부에만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공부와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하고, 대학당국과 교수들도 이런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기업과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의식전환을 해야 한다. 물론 의식전환을 한다고 해도 하루아침에 성과가 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 모든 구성원이 죽도록 노력한다고 해도 아마도 앞으로 최소한 10여년 이상 대학의 위기이니, 취업대란이라는 말이 없어지기 어렵다고 보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을 제외하고 어느 이해관계자도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아 안타까워 가슴이 답답하다.



인간사는 정치의 연속이라고 볼 수 있다. 조직이 크던 작던, 어떤 목적에서 모인 조직이던 내부에서 유∙무형의 갈등과 투쟁이 일어난다.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자원, 즉 부, 명예, 권력은 한정되어 있거나 공평하게 나누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냉혹한 정치의 속성을 잘 표현한 서양의 사상가는 마키아벨리이고, 동양에서는 중국의 한비자라고 한다. 특히 한비자는 춘추전국시대의 유명한 사상가로 법가적 처세론에 기초하여 권력의 본질을 서술하였다. 한비자가 제시하는 지도자의 자질인 7가지 리더십을 알아보자.

 

첫째 지도자는 자신과 싸워 이긴다. 훌륭한 지도자는 자신의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자기 통제를 잘 해야 한다.

둘째 지도자는 상황을 탓하거나 변명을 하지 않는다. 어려운 여건이라도 극복해야 하는 도전으로만 생각한다.

셋째 지도자는 세상의 모든 지혜를 빌린다. 자신만의 머리와 지혜를 믿어서는 한계에 봉착하므로 개방된 사고로 세상의 모든 지식과 주변인의 조언을 받아 들인다.

넷째 지도자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는다. 미래는 불확실할 수 밖에 없다. 지도자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길을 개척하고 제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섯째 지도자는 부하의 충성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 훌륭한 지도자는 부하의 충성을 요구하는 대신 문제를 풀어 낼 재능을 가진 사람을 중용하여 그 능력을 활용한다.

여섯째 지도자는 어려움을 피하지 않고 맞선다. 어려움을 피한다고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최선을 다해 해결한다.

일곱째 지도자는 마지막까지 자신이 모든 책임을 진다. 일을 수행함에 있어 동료와 추종자가 있지만 결국 혼자서 책임을 져야 한다. 지도자는 고뇌와 책임을 누구와도 나눌 수가 없다.

 

위의 7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기업이나 조직, 국가의 지도자들은 최소한 위 항목 중 몇 가지라도 충족해야 하는데 한가지도 가지지 못한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현재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와중에 특히 한국 경제가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어 국가 지도자의 리더십 발휘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단순히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등 정치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모든 부문의 지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갖춰야 하는 요소이다.

21세기는 국가의 경계와 개념이 모호해지고 국가간이 아니라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기업 경영진에 더 요구하는 자질일 것으로 본다. 외부환경이 급변하고 경영여건이 악화되는 시기일수록 더욱 경영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상황이 어렵다고 불평하지 않고 주변 참모들의 조언과 전문가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만 수립한다면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랫사람들의 맹목적인 충성에서 조직 효율성을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인재를 발탁하여 중용하는 것이 인재관리의 핵심이 되고 자신이 선택하고 실행한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수 천년 전의 논리이지만 사람 사는 방식과 논리는 전혀 변하지 않아 귀담아 들을만하다. 현재 한국 경제가 어렵다고 난리이고 내년에는 더 어려울 것이므로 마음을 준비를 단단히 하라고 하는 이야기가 많다. 사실 한국의 지도자들이 해야 하는 일은 알려진 위기를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지혜를 모아 어떻게 위기를 수습하자는 방향을 국민들에게 제시하고 당파를 초월하여 이 난국을 수습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재를 중용하는 것이다. 현재 이 단순한 해결책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



articles
recent replies
recent trackbacks
notice
Admin : New post
BLOG main image
[아웃소싱 및 글로벌정보경영전략(GIMS) 컨설팅 포함.]

  rss skin by  m22m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